loading
목록

벤치마킹 모형 분석

Benchmarking Model Analysis (Benchmarking Model Analysis)

작성자 : 윤자민  |  최종 작성일 : 2018.12.14 01:04:54  |  조회수 : 490

정의

- 벤치마킹(benchmarking)이란 측정의 기준이 되는 대상을 설정하고(우수한 사례의 경영 방침등을 수행하는 기업) 그 대상과 비교 분석을 통해 장점을 따라배우는 행위
- 기업 경영 분야에서 '벤치마킹'이란 어떤 기업이 다른 기업의 제품이나 조직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그 장점을 보고 배우는 경영 전략 기법
- 벤치마킹하는 비교 대상들의 정보를 시각화(어떠한 형태로 시각적 도식화)하여 비교 분석이다.

수행절차

"‘벤치마킹’은 단순한 방문이나 일회성 운동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인 학습을 통해 끊임없이 업무방식의 개선을 추구하는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범위 정의(Identify Key processes to benchmark)
2) 벤치마킹 파트너 선정(Select candidates for Comparison)
3) 측정방법,단위,지표 및 자료수집방법 결정 및 수행(conduct performance comparisons)
4) 차이분석, 결과발표, 격차극복을 위한 개선책 모색(Analyze the reasons for the Performance difference)
5) 지속적 개선을 위한 새로운 학습을 활용(Use the new learning to improve performance)

키워드

Benchmarking, 비교, 분류, 기업, 전략

상세 내용

목적

- 산업영역내 시장에서 주요한 기업들의 경영 및 기획한다.
- 제품 및 서비스 개발, 고객관리등에 대한 정보 비교를 통해 배우고 개선하기 위함이다.

특징

- 성공한 기업이 어떠한 이유로 성공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업 성장의 가속화 성과를 위한 방향성을 찾아 내기 위함이다.
- 조직의 프로세스 성과와 활동이 최상의 사례가 될지 결정하도록 한다.
- 경쟁 대상의 장점을 자신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경쟁 대상에 대하여 학습한다.

장점

커뮤니케이션 개선, 조직과 프로세스의 전문화, 예산 책정의 근거제시, 아웃소싱 사업추진 시 매우 유용하다.

단점

- 선두 기업의 성공 사례를 조직의 입장에 맞게끔 가공 하지 않거나 혹은 지속적으로 진행하지 않을 시 ’그들은 우리와 다르다는 신드롬’ 조사에서 멈춘다.
- 시간대비 비용소모가 효과적이지 못하다.
- 내부적 벤치마킹 시, 한 기업 내의 다른 사업단위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데이터의 수집은 용이하나 내부지향적이라는 한계가 된다.
- 경쟁적 벤치마킹 시, 같은 산업내의 경쟁사와 비교, 분석하는 방법으로 직접적으로 비교가능 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나, 데이터 수집이 어렵고 잘 되어도 경쟁사와 비슷한 정도의 개선만 가능하다는 한계가 된다.

방법론 주의사항

목표회사의 성공을 이끌어낼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단정할 수 없게한다.

참여자 역할

- 단기간의 활동이 아닌 지속적인 활동으로 이어져야한다.
- 개선에 필요한 또는 활동에 필요한 비용적 문제를 염두한다.

준비물

펜, 종이, 돈(활동 및 조사에 필요한)

참고자료

https://en.wikipedia.org/wiki/Benchmar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