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목록

손익분기점 분석

Break Even Point Analysis (BEP)

작성자 : 조인령  |  최종 작성일 : 2018.12.11 12:48:27  |  조회수 : 659

정의

매출을 통해 고정비용은 상쇄되지만 이익은 남지 않는 시점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수행절차

1) 총매출 구하기 - POS, 장부
2) 총비용 구하기 - 장부(지출내역 직접 기록)
3) 고정비 구하기 - 확실한 고정비 구하기
4) 변동비 구하기 - (총비용-고정비)
5) 손익분기점 구하기 - 공식에 대입
6) 목표 영업 이익에 따른 매출액 / 판매량 구하기 - 공식에 대입

키워드

손익분기점, 매출, 이익, 비용

상세 내용

목적

비즈니스가 이익을 얻기 위해 초과되어야 하는 최소 산출량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징

- 손익분기점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고정비용과 변동비용이다.
- 고정비용은 매출액이나 생산량과는 상관없이 소용되는 비용이다.
- 변동비용은 생산량이나 매출액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비용이다.

장점

- 비즈니스 측면에서 보면 수입내용을 분석하고, 또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한 최저 한계 매출액의 파악이 가능하다.
- 개발/마케팅 측면에서 바라보면 한계이익, 변동비율 등을 활용하여 매출액 산정, 신규지점 개설의 타당성 판정 신제품 개발을 위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단점

고정원가와 변동비라는 두 개의 원가 개념을 가지고 단순하게 분석을 하다보니 실제 현장에서 발생하는 경우의 수를 다 고려하지 못한다.

방법론 주의사항

- 원가와 수익의 형태는 선형이다.
- 모든 원가는 고정비와 변동비로 분해된다.
- 고정비는 일정하며 변동비는 조업도에 비례한다.

참여자 역할

- 분석가 : 상품 개발이나 광고 캠페인 등에 이미 비용이 지출되었다면 그 매몰비용은 분석에 포함하지 않는다.

준비물

-

참고자료

1) 김남영, ""스루풋 맥스 전략"",(2015)
2) En.wikipedia.org. (2018). Break-even (economics). [online] Available at: https://en.wikipedia.org/wiki/Break-even_(economics)#Purpose [Accessed 11 Dec.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