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정 지도
journey Map (journey Map)
작성자 : 조인령 | 최종 작성일 : 2018.12.07 16:53:34 | 조회수 : 184
정의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다양한 터치 경로를 거치면서 경험하는 모든 서비스 과정을 행동, 감정, 인식, 기분 등의 관점에서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방법
수행절차
1) 계획
2) 자료 수집
3) 여정 지도 작성
4) 공유 및 토론
키워드
사용자 경험 시각화, 제품 평가, 서비스, 평가, 고객 인식
상세 내용
목적
- 핵심적인 문제 상황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 현재 존재할 수 있는 문제나 혁신을 위한 기회에 대한 인사이트 습득을 목적으로 한다.
-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경험을 시각화하여 각각의 순간을 개별적으로 평가하고 향상시키는 도구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 개발팀으로 하여금 운영과 시스템 관리보다는 실제 제품이나 서비스가 이용될 상황에 집중하도록 도움을 주는데 목적으로 한다.
- 어떤 인터랙션이 최적화된 상태에서 작동하는지, 중요하지 않은지, 전반적으로 실패하는지 등에 대한 토론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특징
- 문제와 인사이트의 시각화 도구로 활용한다.
- 멀티채널 제품이나 서비스와 상호 작용하는 기간 동안 개인적인 행동, 느낌, 인식, 생각 틀 (긍정, 부정, 중립의 순간)에 관한 이야기를 알 수 있다.
- 주로 페르소나와 시나리오 제작과 동시에 혹은 제작 직후에 만든다.
장점
- 경험에 집중할 수 있으며, 경험 요소 간의 관계를 드러낸다.
- 기존 지식의 구조화, 정보 시각화를 할 수 있다.
- 시스템 중심의 관점으로부터 실제 세상에서 서비스와 제품이 사용되는 더 큰 맥락의 관점으로 변하게한다.
- 팀이 감정적으로 큰 반응을 일으키고 리디자인과 개선이 필요한 중요한 순간을 정확히 찾아낼 수 있게 한다.
- 문서의 초기 버전은 팀 토론을 위한 발판 역할을 할 수 있다.
- 공통의 목표와 비전을 창출할 수 있다.
- 사용자 중심의 포커스를 실현할 수 있다.
단점
- 한 종류의 가상의 이야기만 만들기 때문에 환경에 섞여있는 다른 서비스, 시스템, 대리자들에 대한 관점은 포착하지 못할 수 있다.
- 예상이 빗나갈 경우 제품 및 시스템 전체에 관한 신뢰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방법론 주의사항
- 반드시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를 실제로 사용하는 사람으로부터 직접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해야 한다.
- 각각의 지도는 특정 페르소나의 여정을 나타내야 하며 그 페르소나에 대한 설명도 포함시켜야 한다.
-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당 사건을 명확히 표현해야 하며, 각 사건은 전체 사건의 기승전결을 보여주거나 특정 부분만 보여줄 수도 있다.
- 모든 순간을 정직하게 보여줘야 하며 긍정적 부정적 순간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
- 페르소나가 여러 명이라면 사용자 여정 지도도 해당 수만큼 제작한다.
- 모든 사람이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공간에서 질문, 아이디어, 디자인 향상을 위한 제안 사항을 종이 위에 직접 쓰면서 검토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참여자 역할
연구자 : 사용자 여정 지도를 작성한다.
준비물
필기구, 종이, 포스트잇
참고자료
1) http://thod.tistory.com/entry/%EC%B0%B8%EC%A1%B0-Customer-Journey-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