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라이팅
Brainwriting (Brainwriting)
작성자 : 조인령 | 최종 작성일 : 2018.12.07 16:55:16 | 조회수 : 310
정의
집단적 창의발상기법으로 하나의 주제에 대한 아이디어를 종이에 쓰고, 그것을 옆 사람과 교환해가며 아이디어를 추가하는 발산형 방식 입니다. 대표적으로 6-3-5방법이라고도 불리며 6명의 멤버가 각 3개의 아이디어를 5분 이내에 도출하여 30분동안 108개의 아이디어를 모으는 방법
수행절차
1) 계획 - 주제 결정
2) 수행 - 아이디어 작성
3) 분석 - 기록지 취합 후 아이디어 평가
4) 결과 - 기록지, 선별 아이디어, 사진 등
키워드
행동, 태도, 정성적, 생산적, 디자인프로세스, 아이디어연상법
상세 내용
목적
짧은 시간에 많은 아이디어 발상이 필요할 때 사용되며, 아이디어 발상에서 남 앞에서 발언하기를 꺼려 하는 사람이나 소극적인 사람에게도 평등한 참여기회를 제공한다. 복잡한 이해당사자들이 있는 민감한 주제에 대해서 참여자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다.
특징
브레인스토밍에 비해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는 확장성이 넓은 방법으로, 집단의 아이디어를 통하여 발전적인 아이디어 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장점
- 참석자가 동시에 아이디어를 기록하기 때문에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 많은 인원이 참가할 수 있고, 짧은 시간에 문제 발견 및 의견수렴이 가능하다.
- 수집 아이디어가 누락될 가능성이 적다.
- 모든 참여자들의 평등한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
단점
- 브레인스토밍에 비해 참가자의 자발성이 저하될 수 있다.
- 참가자 간에 의견이 많이 겹칠 수 있다.
방법론 주의사항
6-3-5방법의 변형된 형태인 레인보우라이팅(Rainbow writing)은 아이디어 발상 범위를 넓게 제공하기 위하여, 참여자가 고려해야 할 7가지 요소(기능, 활용, 관련기술, 약점, 타겟, 타겟니즈, 트렌드&이슈)를 7가지 색상의 포스트잇에 할당하고 팀 내에서 순서대로 채워가는 방법임을 고려해야 한다.
참여자 역할
- 진행자: 아이디어 발상이 필요한 주제를 모으고 브레인라이팅 기록지 사용법을 참가자가 숙지하도록 하며, 참가자들이 자발적으로 아이디어를 내도록 유도한다.
- 참가자: 관련 주제에 대해 브레인스토밍 기록지에 시간제한 내 제출한다.
준비물
회의용 테이블, 의자, 브레인라이팅 기록지, 필기구(개인별), 포스트잇, 참석자 명단, 이름표 등
참고자료
1) 리빗과 하우스리의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