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목록

가치 사슬 분석

Value Chain Analysis (VCA)

작성자 : 조인령  |  최종 작성일 : 2018.12.07 16:57:18  |  조회수 : 530

정의

한 기업의 모든 활동을 전략적으로 연관성 있는 몇 개의 활동들로 나누어 표현하는 방식

수행절차

1) 정보 수집
2) 기업의 모든 활동들을 분석
3) 결과 토의

키워드

환경 분석, 내부 역량, 경쟁우위, 차별화, 가치활동, 한계이윤, 본원적 활동 , 지원 활동

상세 내용

목적

기업이 수행하는 모든 활동을 점검하고 이 활동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알아봄으로써 현존하거나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기업의 차별화의 원천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징

- 가치사슬은 총가치(total value)를 보여주며, 가치활동과 한계이윤(margin)으로 구성된다.
- 가치활동은 본원적 활동(primary activites)과 지원활동(support activities)으로 나눠진다.
- 본원적 활동 : 물류투입 활동, 운영활동, 물류산출 활동, 마케팅과 판매활동, 서비스 활동
- 지원활동 : 기업 하부구조, 인적자원 관리, 기술개발, 조달활동

장점

-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는 왜 다른 것으로 대체 가능한지에 대해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다
- 구매자들이 더 높은 가격을 내도록 하는 가치의 원천이 어디인지 알 수 있다.
- 원가를 절감하거나 차별화를 강화할 수 있는 기업과 공급자 간의 연계성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다.

단점

- 정보기술산업에서는 단일 기업의 비용 경쟁력이 더 이상 가치창출에 결정적으로 기여하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적용하기 어렵다.
- 디지털 생태계에서는 독립성을 가진 참여자가 가치사슬 내에서의 활동을 독자적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기존의 지배적 참여자가 가치 흐름 전부를 관장하는 방식이 맞지 않다.
- 기업 내부 데이터 획득이 어렵다.

방법론 주의사항

- 특정 산업 또는 사업단위에서의 기업활동이 가치사슬을 구축하기 위한 적정 수준이다.
- 산업 또는 섹터 범위의 가치사슬은 너무 광범위하다.

참여자 역할

-

준비물

펜, 포스트 잇

관련 이미지 (2)

21.Value Chain Analysis_ex.png
21.Value Chain Analysis.png

참고자료

1) 마이클 포터의 경쟁우위
2) 통신시장 구조변화에 따른 가치사슬 및 가치네트워크에 관한 동태적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