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맵
Tree map (Tree map)
작성자 : 조인령 | 최종 작성일 : 2018.12.14 10:48:55 | 조회수 : 200
정의
계층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다량의 데이터를 시각화 기법을 통해 표현하는 방법
수행절차
1) 데이터 레이블 정하기
2) 프로그램 결정 및 수행
3) 데이터 시각화 및 분석
키워드
정보 시각화, 계층적 구조
상세 내용
목적
많은 양의 계층적 데이터가 있는 경우 트리맵을 이용해 요약, 시각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징
중첩된 사각형 영역으로 분할하고 색상의 차이를 주어 계층적 구조를 표현한다.
장점
- 제한된 공간에서 동시에 많은 수의 항목을 표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이다.
- 트리 구조에서 색상과 크기 사이의 상관 관계 등 다른 방식으로 배치하기 어려운 패턴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 인터랙티브 시각화 방법으로 반복적인 데이터 수정 및 분석이 가능하다.
단점
- 제한된 화면공간을 이용하여 매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할 경우 정보 표현이 취약하다.
- 측정 값의 크기에 큰 차이가 있을 때 및 절대 값과 상대 값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 적합하지 않다.
- 음수 값(Negative values)은 트리 맵으로 표시 할 수 없다.
방법론 주의사항
-
참여자 역할
-
준비물
코딩 툴, 온라인 툴, 프로그램
참고자료
1) https://help.qlik.com/en/US/sense/September2017/Subsystems/Hub/Content/Visualizations/TreeMap/when-to-use-treemap.htm
2) https://datavizcatalogue.com/methods/treemap.html
3) B. Johnson and B. Shneiderman. Tree-Maps: A Space Filling Approach to the Visualization of Hierarchical
Information Structures. In Proc. IEEE Conference on
Visualization ‘91, pages 284-291,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