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
작성자 : 윤자민 | 최종 작성일 : 2018.12.14 02:33:24 | 조회수 : 402
정의
1명의 응답자와 일대일 인터뷰를 통해 사용자의 심리를 파악하는 조사법으로 어떤 주제에 대해 응답자의 생각이나 느낌을 자유롭게 이야기함으로써 응답자의 내면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욕구, 태도, 감정 등을 발견하는 인터뷰 방법
수행절차
1) 정보 수집
2) 인터뷰 계획
3) 참가자 모집
4) 인터뷰 실행
5) 보고서 작성 및 공유
키워드
인터뷰, 질적 내용 분석
상세 내용
목적
- 직접적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인터뷰 참여자의 태도, 느낌, 행동, 감정에 대한 이해
- 사용자의 생각과 태도, 그리고 숨겨진 요구 사항 파악
특징
- 공식적인 질문과 답변의 행태보다는, 비공식적인 대화의 형태를 취한다.
- 연구자가 미리 준비된 질문의 목록 없이 다루고자 하는 일정한 범위의 주제나 이슈만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 자료가 상호작용을 통해서 창출할 수 있다.
장점
- 자연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비교적 자세한 정보 수집 가능하다.
- 조사 대상자가 그렇게 응답한 이유, 의견, 동기, 경험 등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반응까지 관찰 가능하다.
- 인터뷰를 진행하며 사람들을 관찰하고 확인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통찰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 조사하고 있는 서비스를 둘러싼 사회적이고 물리적인 환경 이해 가능하다.
- 참여자들로부터 포커스 그룹 상황에서는 자칫 잊어버리기 쉬운 세부 사항을 말하게끔 하는 것이 용이하다.
- 신속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초기 학습과 통찰 활동에 착수 가능하다.
- 사용자 통찰을 얻을 수 있는 가장 손쉽고 확실한 방법이다.
- 사용자에 대한 심화된 이해 가능하다.
단점
- 조사 대상자의 수가 적기 때문에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
- 연구자의 편견과 주관적인 해석이 개입될 가능성이 있다.
- 참여자도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항상 알고 있는 것은 아니며 인터뷰에서 답한 내용과 실제 행동이 다를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충분한, 혹은 신뢰할 만한 통찰을 제공해 주는 것은 아니다.
- 녹음기를 사용할 시, 녹음기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인터뷰 참여자의 답변이 다를 수 있다.
방법론 주의사항
- 인터뷰 진행자의 인터뷰 및 분석 능력에 따라 인터뷰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크게 변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사전 준비와 시간이 필요하다.
- 인터뷰할 대상자에 대해 사전에 충분한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 주제와 인터뷰 내용에 대해 완벽하게 숙지해야 한다.
- 단답형 질문보다는 오픈형 질문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기 위해 다른 조사 활동을 통해 인터뷰 내용을 보완해야 한다.
- 사용자의 실제 행동을 자세히 관찰하고 여러 조사에 확실한 근거가 되어 줄 실험들을 인터뷰 이후에 추가로 실시해야 한다.
인터뷰 진행 역할을 할 진행자와 메모 역할을 할 진행자를 나누어 두 사람이 팀을 이뤄 인터뷰를 실시하는 것을 권장한다.
참여자 역할
인터뷰 참가자 : 인터뷰 대답
인터뷰 진행자(연구자) : 인터뷰 설계, 진행, 분석
인터뷰 관찰자 : 인터뷰 내용 녹화, 녹음, 노트
준비물
필기구, 종이, 인터뷰 환경(의자, 책상 등), 녹화, 녹음 장비
참고자료
http://www.servicedesigntools.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