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목록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Brainstorming)

작성자 : 윤자민  |  최종 작성일 : 2018.12.14 01:08:22  |  조회수 : 185

정의

집단적 창의적 발상 기법으로 5~12명의 집단이 하나의 주제에 대하여 다양한 아이디어를 자발적으로 구두 제시하는 과정을 통하여 풍부한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다.

수행절차

1. 아이디어 발상이 필요한 주제 결정
2. 아이디어 주제에 대해 명확히 정의하고 보드에 기록

키워드

행동, 태도, 정성적, 생산적, 디자인프로세스, 아이디어연상법

상세 내용

목적

짧은 시간에 많은 아이디어 발상이 필요할 때 사용허며, 집단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특정 문제의 해결책이나 개선기회를 찾기 위해 사용한다.

- 문제의 해결책 및 개선활동을 찾을 때
- 팀의 참여를 통해 기업의 혁신을 시작하려 할 때
- 팀의 창조성을 촉진시키려 할 때

특징

- 다다익선(Focus on quantity)
- 비판금지(Withhold criticism)
- 자유분방(Welcome unusual ideas)
- 결합개선(Combine and improve ideas)

장점

- 브레인스토밍은 우리의 생각을 확장하여 사고의 한계를 극복한다.
- 관련 주제에 대한 발산적 방법론으로 다양한 의견 제시가 가능하다.
- 짧은 시간에 많은 아이디어를 만들어 낸다.

단점

- 다른 사용자의 의견에 영향을 받아 획일적인 아이디어로 수렴할 수 있다.
- 그룹의 분위기에 따라 결과 및 양에 차이발생한다.
- Big Mouth에 의한 발언권 독점 혹은 Free rider발생을 통한 참여노력 감소한다.
- 다른 참가자가 발표하는 동안 자신의 생각이 방해를 받거나, 아이디어를 표출하기 위한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생산성 하락한다.

방법론 주의사항

- 브레인스토밍을 사용할 때는 다루는 주제가 집단의 판단을 필요로 하기보다는 양적인 아이디어가 요구될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서비스 명칭을 정하는 데이는 브레인스토밍이 효과적이나, 신사업시작 시점등과 같이 분석적인 판단이 요구되는 경우 브레인스토밍 방법은 적절하지 않다.
- 브레인스토밍방법은 1930년 오스본이 처음 용어를 사용한 후 다양한 파생기업이 개발되어있다. 브레인라이팅의 경우 브레인스토밍에서 이야기하는 자발적 아이이디어 참여가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방법론 사용 환경과 목적에 따라 적절한 응용방법을 찾아 선택하는것이 중요하다.

참여자 역할

- 진행자: 아이디어 발상이 필요한 주제를 모으고, 브레인스토밍 규칙을 명확히 설명 및 진행
- 서포터(선택): 참석자이 모든 발언을 플립차트/보드에 빠르게 기록
- 참가자: 관련 주제에 대해 의견을 자발적으로 제시

준비물

회의용 테이블, 의자, 화이트보드, 마커, 지우개, 포스트잇, 종이, 펜, 테이프, 노트북, 카메라, 참석자 명단, 이름표 등

참고자료

VanGundy, A. B. (1984). Brain writing for new product ideas: an alternative to brainstorming.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2), 67-74.